1. 서론
어렸을 때부터 어머니에게 항상 듣던 말이 “얘야, 옷 단디 입어라. 감기 걸릴라~”라는 말이다. 그러니 당연히 추우면 감기에 걸리는 것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근데, 한여름에도 감기에 걸리는 걸 보면 분명 감기에 걸리는 이유는 다른 게 있다는 걸 알게 되는데, 감기는 어떻게 걸리는 걸까?
2. 추위에 노출되면 감기에 걸리나?
추위 자체로 감기가 걸린다는 것은 지극히 잘못되었다. 감기는 바이러스다. 바이러스는 호흡기 점막을 감염시켜서 콧물이나 기침, 두통 등을 일으킨다. 그렇다면 바이러스감염은 어떻게 되나?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고, 그래서 감기에 걸리는 것이다.
추위 자체가 감기를 일으키는 원인은 아니지만, 제공자의 위치쯤은 된다. 왜냐하면, 추위에 노출되면 체온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혈액순환 저하를 일으킨다. 면역 세포는 혈액 순환이 저하되면 정상저긴 기능을 하지 못하고,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에 급격히 떨어진다.
결국, 추위는 감기에 걸릴 확률을 높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꼭 걸리다는 원인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당부한다.
3. 꿀물을 타먹으면 감기가 정말 낫나?
꿀은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거기에 수분을 보충은 꿀물은 기침을 멎게 하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 사실 감기에 걸렸을 때 꿀물이 감기를 낫게 한다는 과학적 근거는 풍후 하지 않지만 이런 요인들과 풍부한 영양을 가지고 있기에 감기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건 사실로 보인다.
4. 감기에 안 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①손을 자주 씻는 게 정말 중요하다. 손은 미생물과 균에 가장 빠르게 오염되기 때문에 외출 후, 화장실 사용 후 등 손을 자주 씻어주는 것만으로도 감기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②감기는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걸린 사람과 직접적인 접촉은 피한다.
③충분한 휴식, 영양 섭취, 규칙적인 운동의 세 박자가 잘 갖춰지면 면역력이 강화되면 감기로부터 저항력을 키울 수 있다.

5. 결론
한창 몸이 좋을 20대 시절에는 감기에 걸려도 그냥 한숨 자고 일어나면 나을 정도로 몸이 건강했지만, 지금은 감기에 걸리면 병원 가서 주사 맞고 약을 지어먹어야 할 정도로 약해진 걸 느낀다. 그렇지만 절망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더 관리해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그걸로도 행복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겨울에 독감주사는 꼭 맞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