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산불이 많이 나는 이유는 뭘까?

산불이 지나간 산

1. 서론

나는 눈이 나빠서 군복무를 공익근무요원으로 2년 2개월 근무했다. 내가 근무한 곳은 산림청으로 매일매일 산을 타고 초소에 올라가서 산불감시를 하고, 산불관리기간이 아닐 때는 소나무제선충이라고 사람으로 치면 에이즈에 걸린 소나무를 자르고 죽여서 격리하는 작업 등을 했다. 근데, 전국적으로 봄만 되면 산불이 그렇게 많이 난다. 물론 대형산불로 번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초반 진압을 잘하는 편이긴 하지만, 유독 봄에 산불이 많은 이유는 뭘까?


2. 봄에 산불이 많이 나는 이유

봄은 우선 일반적으로 날씨 자체가 건조하다. 거기다가 강수량이 적어 나무가 머금고 있는 수분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작은 불씨에도 쉽게 불이 붙는 편이다. 또한, 강한 바람이 자주 불어 산불을 빠르게 확산시켜 피해를 빠른 속도로 확산시킨다.

3. 산불이 나는 다양한 원인들

산불은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인 원인으로 나뉘는데, 인위적인 원인으로 산불이 나는 경우가 훨씬 많다.

①자연적 원인 : 번개, 지열, 바람, 화산활동 등

②인위적 원인 : 담뱃불, 쓰레기 조각, 등산객의 화기 관리 부주의, 전기 화재, 고의 방화 등

4. 산불 예방하는 방법

산에 갈 때는 웬만하면 화기 사용을 자제하고 애초에 가져가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산에 쓰레기를 버리거나, ‘괜찮겠지?’라고 생각하고 흡연을 해서는 안된다. 산에서 대기하고 있는 산불요원의 지시에 항시 따라야 하고 산불을 목격하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그리고 산불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사람들에게 인식을 심어주는 것도 필요하겠다. 관련 교육을 학교, 회사, 모임 등에서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어마어마하게 산불이 난 모습과 그걸 지켜보는 참담해보이는 소방관

5. 마무리

요즘 캐나다 산불이나 호주 산불에서 보면 알듯이 한번 불이 붙으면 몇 달을 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서 모든 구역을 전부 잿더미로 만든다. 이상기후와 지구온난화가 원인일 것이다. 그래서 너무나도 무서운 존재라는 걸 사람들이 알고 있기에, 산불조심은 이제 그냥 스쳐 지나가는 단어가 되어서는 안 된다. 기억하고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