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연동형 비례대표제 : 비례대표 의석을 지역구 선거 결과와 연동해 배분하는 제도

국회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대한민국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적용된 선거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기존의 비례대표제와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병립형 비례대표제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다.


방식

①1단계(정당 득표율에 따른 의석 배분) : 총 의석 수의 50%는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적으로 배분한다. 각 정당은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정받게 된다.

②2단계(지역구 의석 수 반영) : 단계에서 배정받은 의석 수에 지역구에서 당선된 의석 수를 더한다. 지역구에서 더 많은 의석을 확보한 정당은 비례대표 의석 배정에서 불리하게 된다.

③3단계(50% 연동 조정) : 1단계와 2단계를 통해 배정된 의석 수가 전체 의석 수의 50%를 넘지 않는 정당에게는 50%까지 채워준다. 이 과정을 통해 정당 득표율과 지역구 의석 수를 모두 반영하여 의석을 배분하게 된다.

장점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군소 정당의 원내 진출을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계층과 집단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정당의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기 때문에 공정한 선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계층과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고 공정한 선거를 실현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하며 군소 정당의 원내 진출을 용이하게 하여, 거대 정당의 독과점을 방지하고 정치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단점

의석 배분 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50% 연동 조정 과정으로 인해서 의석 배분에 불일관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연동 조정 과정에서 소수 정당에게 불이익이 불생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지역구 선거 결과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 배분이 조정되기 때문에 지역구 선거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도 높다.

현재 상황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는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개선하거나 폐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중이다.

영상

해당 영상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서 아주 잘 설명이 되어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마무리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장점과 단점이 명확하게 공존하는 제도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당 득표율과 지역 대표성, 거대 정당 견제 등의 가치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쿠팡 노트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