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상장지수펀드) 제대로 알아보기

ETF

ETF란?

ETF는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불리며, 특정 지수나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이다.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매매가 가능하며, 투자자들은 한 번에 여러 종목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풀이

ETF = Exchange Traded Fund = 상장지수펀드

특징

①분산투자 : ETF는 다양한 종목을 포함하고 있어 분산투자가 가능하다. 그렇기에 한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②실시간 거래 : 주식시장에서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다.

③소액투자 : 주식처럼 거래되기 때문에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④운용보수 저렴 : 일반 펀드에 비해 운용보수가 저렴하다. 따라서 투자자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⑤투명성 : 보유 종목과 비중, 수익률 등이 공개되어 있어 투명성이 높은 편이다.

⑥다양한 자산에 투자 : 주식, 채권, 원자재, 통화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⑦세금 혜택 : 주식과 동일하게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분배금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

종류

①국내 주식 ETF : KOSPI, KOSPI 200, 업종별 ETF 등 국내 주식 시장의 다양한 지수를 추종한다.

②해외 주식 ETF : S&P 500, 나스닥 100, 유럽 Stoxx 600 등 해외 주식 시장의 주요 지수를 추종한다.

③채권 ETF : 국고채, 회사채 등 다양한 채권 종목을 포함하는 지수를 뜻한다.

④금 ETF : 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⑤원자재 ETF : 석유, 금속 등 원자재 가격을 추종하는 ETF로, 인플레이션 대비책으로 활용된다.

장점과 단점

장점분산투자를 통한 개별 종목 위험 부담 줄임, 소액투자가능, 실시간 거래, 운용보수 저렴, 세금 혜택
단점투자금애이 커질수록 운용보수 높아짐, 추적 오차 발생, 환매 제한, 투자 위험, 과세 문제


영상


ETF

마무리

ETF는 개인 투자자들이 손쉽게 분산 투자하고 저렴하게 투자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라고 정평이 나 있다. 하지만 모든 투자 상품에는 위험이 따르므로, 투자 전에 충분히 공부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투자를 함에 있어서 자신의 투자 목적과 상황에 맞는 ETF를 선택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